최저임금 계산기
최저임금 계산기 입력 값
1주 근로시간: 40 시간
월 기본급: 0 원
월 고정수당: 0 원
월 고정 후생복지수당: 0 원
월 고정 상여금: 0 원
최저임금 계산기 계산 결과
월 기본급 + 고정수당 합계: 0 원
최저임금 적용기준 시간 수(209시간): 209 시간
귀하의 시간급은 0 원 입니다.
귀하의 시간급이 선택하신 연도의 최저임금에 미달합니다.
👉실급여 계산기 (세후 월급 실수령액 계산) 바로가기
최저임금 계산기는 한국의 법정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근로자의 시간당 급여가 최저임금을 충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 계산기는 2023년부터 2025년까지의 최저임금 기준을 적용하여, 월급제 또는 시간제 근로자의 급여가 법적 기준을 만족하는지 평가합니다.
사용자가 입력한 월 기본급과 각종 수당 등을 바탕으로 시간당 급여를 산출하며, 입력값에 따라 최저임금 충족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계산기 주요 특징
연도별 최저임금 선택 가능: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연도별로 최저임금을 선택하여 해당 연도의 기준에 맞춰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2023년, 2024년, 2025년의 최저임금을 표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연도 | 최저임금 (원) |
---|---|
2023년 | 9,620원 |
2024년 | 9,860원 |
2025년 | 10,030원 |
월급제와 시간급제 지원: 월급제와 시간급제를 모두 지원하여 근로 형태에 따라 적합한 계산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수당 포함 가능: 월 고정수당, 후생복지수당, 상여금 등의 항목을 포함하여 실제 근로자의 급여와 더 유사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디자인: 모바일 및 PC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각 화면 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최적화됩니다.
천 단위 구분 기능: 사용자가 입력하는 금액에 천 단위 구분을 추가해 가독성을 높이고, 소수점 반올림 기능을 통해 정확한 시간당 급여를 제공합니다.
최저임금 계산기 사용 방법
내가 받고있는 월급여가 최저임금 이상 충족되는지 미달되는지 아래의 사용 방법을 확인후 계산기를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 연도 선택: 계산기 상단의 연도 선택 버튼에서 원하는 연도를 선택합니다. 선택한 연도의 최저임금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 급여 형태 선택: 월급제 또는 시간급제를 선택합니다. 기본값은 월급제로 설정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시간급제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사업장 규모 선택: 사업장이 5인 이상인지 4인 이하인지 선택합니다. 이 정보는 계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최저임금법의 적용 대상 여부에 따라 참고할 수 있습니다.
- 1주 근무시간 선택: 주당 근무시간을 40시간, 44시간, 48시간 중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직접 입력이 필요한 경우, “시간(직접입력)”을 선택하고 옆의 입력란에 주당 근무시간을 입력합니다.
- 급여액 입력: 월 기본급, 월 고정수당, 월 후생복지수당, 월 상여금 항목에 각각 금액을 입력합니다. 각 금액은 천 단위로 구분되어 표시되며, 금액을 입력할 때마다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 계산하기 버튼 클릭: 모든 정보를 입력한 후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결과가 오른쪽에 표시됩니다. 입력한 금액을 바탕으로 계산된 시간당 급여가 해당 연도의 최저임금을 충족하는지 여부가 표시됩니다.
최저임금 계산 결과 표시
계산 결과는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표시됩니다.
- 입력한 정보 요약: 사용자가 입력한 근무시간, 월 기본급, 고정수당, 후생복지수당, 상여금이 요약되어 표시됩니다.
- 세부 계산 결과:
- 월 기본급 + 고정수당을 합산한 금액이 표시됩니다.
- 최저임금 기준 시간 수로 계산된 시간당 급여가 표시됩니다. (월 209시간 기준)
- 최종 결과:
- “귀하의 시간급은 ○○○ 원입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시간당 급여가 표시됩니다.
- 해당 급여가 선택된 연도의 최저임금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최저임금 미달 시 “미달합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붉은색 경고가 표시됩니다.
- 또는 급여가 최저임금 이상인 경우, “충족합니다” 라는 메시지와 함께 초록색으로 표시 됩니다.
최저임금 계산기의 장점
본 계산기를 이용하면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사용의 편리함: 연도와 근로 형태만 선택하면 간단히 최저임금 충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가시성 높은 결과 제공: 최저임금 충족 여부가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표시되어 쉽게 결과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입력 항목 지원: 다양한 수당 및 상여금 항목을 추가하여 실제 급여와 유사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 법적 기준에 따른 정확한 계산: 최저임금법의 연도별 기준에 따라 정확하게 최저임금 충족 여부를 판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