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3.3% 계산기 (프리랜서 알바 원천징수 종합소득세)

세금 3.3% 계산기 사용법과 활용 가이드

계약 금액 기준
실제 수령액 기준
기본세율 (3%)
0원
지방소득세 (0.3%)
0원
총 세금 (3.3%)
0원
실제 수령액
0원
계약 금액(세전)
0원
기본세율 (3%)
0원
지방소득세 (0.3%)
0원
총 세금 (3.3%)
0원
📢 실급여 계산기 (세후 월급 실수령액 계산)
📢 알바 주휴수당 계산기(+계산방법)

프리랜서나 사업소득자는 계약 금액에서 소득세 3% + 지방소득세 0.3% = 총 3.3%가 원천징수됩니다.
문제는, 실제로 통장에 찍히는 금액이 계약서에 적힌 금액과 다르다는 점이죠.

예를 들어,

  • 계약 금액이 1,000,000원이라면 33,000원이 세금으로 빠져 967,000원이 입금됩니다.
  • 반대로 통장에 967,000원이 들어왔다면, 세전 계약 금액은 1,000,000원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계약 금액 기준실제 수령액 기준을 각각 계산할 수 있어야 정확한 세전·세후 금액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계산기의 주요 기능

본 3.3% 세금 계산기는 두 가지 모드를 지원합니다.

1. 계약 금액 기준

  • 입력: 계약 금액(세전 금액)
  • 출력:
    • 소득세(3%)
    • 지방소득세(0.3%)
    • 총 세금(3.3%)
    • 실제 수령액(세후 금액)

👉 계약서를 작성할 때 실제 입금액이 얼마인지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실제 수령액 기준

  • 입력: 통장에 찍힌 실제 수령액(세후 금액)
  • 출력:
    • 세전 계약 금액
    • 소득세(3%)
    • 지방소득세(0.3%)
    • 총 세금(3.3%)

👉 입금 내역만 확인했을 때, 계약 금액이 얼마였는지 역산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과 편의 기능

  • 자동 콤마(,): 입력값이 10000001,000,000 으로 표시됩니다.
  • 복사하기 버튼: 결과를 표 형태 그대로 복사할 수 있어 메모장, 엑셀 등에 붙여넣기 편리합니다.
  • 공유하기 버튼: 모바일 환경에서는 카톡, 문자 등으로 결과를 바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디자인: PC·모바일 어디서든 잘 보이도록 자동 크기 조절.

실제 사용 예시

예시 1) 계약 금액 기준

  • 계약 금액: 1,000,000원 입력
  • 결과
    • 소득세 30,000원
    • 지방소득세 3,000원
    • 총 세금 33,000원
    • 실수령액 967,000원

예시 2) 수령액 기준

  • 실제 수령액: 967,000원 입력
  • 결과
    • 계약 금액 1,000,000원
    • 소득세 30,000원
    • 지방소득세 3,000원
    • 총 세금 33,000원

활용 팁

  • 프리랜서, 강사, 유튜버 등 사업소득자라면 계약 전후로 반드시 계산해보세요.
  • 월 단위 수입 정산, 세무 기장 시 세전/세후 금액 비교가 가능합니다.
  • 기업 담당자도 계약서 작성 시, 상대방에게 실제 수령액 기준 안내를 줄 때 유용합니다.

3.3% 세금 계산기는 프리랜서와 사업소득자를 위한 필수 도구입니다.
계약 금액 기준과 수령액 기준 두 가지를 모두 지원하므로, 세전 금액과 세후 금액을 쉽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 위 계산기를 활용해 헷갈리기 쉬운 세금 공제를 쉽게 계산해보세요.


3.3% 계산기 자주 묻는 질문FAQ

Q. 3.3% 계산기는 어떤 용도로 사용하나요?

A. 3.3% 계산기는 프리랜서, 개인 사업자, 아르바이트 소득 등에서 원천징수 되는 소득세(3.3%)를 빠르게 계산하는 도구입니다.

Q. 3.3%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A. 근로소득이 아닌 사업소득으로 분류되는 경우, 소득세 3%와 지방소득세 0.3%를 합쳐 총 3.3%가 원천징수되는 것을 말합니다.

Q. 3.3% 계산기를 어떻게 사용하나요?

A. 총 지급액(세전 금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원천징수세액(3.3%)과 실수령액(세후 금액)을 계산해줍니다.

Q. 왜 3.3%를 미리 떼고 주나요?

A. 국세청에 세금을 미리 납부하기 위해 원천징수 제도를 적용하는 것이며,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실제 세액과 정산됩니다.

Q. 월급과 3.3% 프리랜서 소득은 차이가 있나요?

A. 네. 월급은 근로소득세가 적용되어 4대 보험이 포함되지만, 3.3% 프리랜서 소득은 사업소득으로 처리되며 4대 보험료가 자동 공제되지 않습니다.

Q. 3.3% 공제 후 금액만 받으면 세금 신고를 안 해도 되나요?

A. 아닙니다. 원천징수는 잠정적인 세금 납부이므로,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실제 세액을 확정해야 합니다.

Q. 3.3% 계산기로 알바비도 계산할 수 있나요?

A. 예. 프리랜서 형태로 지급되는 아르바이트 소득이라면 적용 가능합니다. 다만, 근로계약을 맺은 일반 아르바이트는 근로소득세가 적용됩니다.

Q. 3.3% 공제 금액은 돌려받을 수 있나요?

A. 종합소득세 신고 시 소득이 적거나 경비 처리가 많으면 일부 혹은 전액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세금을 더 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Q. 3.3% 계산 결과가 실제 지급액과 다른 경우는 언제인가요?

A. 회사가 지급 시 기타 수수료를 추가로 공제했거나, 다른 세금(예: 주민세, 체납 세금)이 자동 차감된 경우입니다.

Q. 3.3% 계산기는 어디서 이용할 수 있나요?

A. 포털 검색창에 “세금 3.3% 계산기”를 검색하거나, 세무 관련 사이트, 블로그 등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계산기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3.3%-계산기
3.3% 계산기

1 thought on “세금 3.3% 계산기 (프리랜서 알바 원천징수 종합소득세)”

Leave a Comment

이 페이지의 내용을 복사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