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계산기: 만기 예상수령액(이자+정부기여금)

청년도약계좌 계산기

은행별 금리·정부기여금을 반영해 예상 수령액을 확인하세요.


병역이행 여부 반영: 만 19~34세 청년이 가입 가능한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 안내

※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기여금(공공재정지급금)이 지급되는 상품으로, 거짓된 정보로 부정청구 시 「공공재정환수법」에 따라 환수 및 제재부가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기본 개요

  • 가입기간: 5년(60개월)
  • 납입금액: 월 1천원 ~ 70만원 (자유납입)
  • 금리: 은행 자율 (3년 고정 + 2년 변동)
  • 혜택: 월 최대 33,000원 정부기여금, 이자소득 비과세

✅ 가입 대상 조건

  • 연령: 만 19세 ~ 34세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차감)
  • 개인소득: 총급여 7,5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 금융소득: 최근 3개년도 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닌 경우

📊 정부기여금 (월 최대)

개인소득 구간 40만원 구간 50만원 60만원 70만원 월 최대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24,000원 9,000원 33,000원
총급여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23,000원 6,000원 29,000원
총급여 4,800만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22,200원 3,000원 25,200원
총급여 6,0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21,000원 21,000원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없음

⚠️ 유의사항

  • 1인 1계좌만 가입 가능 (청년희망적금 유지자는 불가)
  • 거짓 자료 제출 시 정부기여금 환수 및 법적 제재 가능
  • 가입 후 매년 소득을 다시 확인하여 정부기여금 규모 조정
  • 중도해지 시 정부기여금 미지급, 일부 특별사유(사망·출산 등)만 예외
  • 가입 2년 이상 & 800만원 이상 납입 시, 신용평가 가점(5~10점) 부여
  • 가입 2년 이후 원금 40% 이내 부분인출 가능
※ 청년도약계좌 만기 수령금은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일시납입 또는 창업지원 사업 등 청년 정책과 연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자주 묻는 질문 (FAQ)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 청년(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차감)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개인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250% 이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납입액과 개인소득 구간에 따라 매월 9천원~3만3천원까지 차등 지급됩니다. 소득이 높아질수록 지원액은 줄어듭니다.
기본금리는 은행이 자율 결정하며, 소득우대금리(+0.5%p)와 우대금리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이자소득은 전액 비과세 처리됩니다.
일반 중도해지 시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단, 사망·출산·혼인·주택구입 등 특별사유가 있을 경우 정부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 2년 이상 경과 시, 누적 납입원금의 40% 범위 내에서 부분인출이 가능합니다. 단, 3년 미만 시 이자 과세 및 정부기여금 미지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을 유지 중이라면 청년도약계좌는 신규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단,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 후 일시납입 형태로 청년도약계좌에 전환 가입할 수 있습니다.
네. 가입 2년 이상 & 800만원 이상 납입 시, 신용평가사 기준에 따라 5~10점의 신용 가점이 부여됩니다.
맞습니다. 매년 1회 소득 재심사를 통해 정부기여금 지급 비율이 조정됩니다. 단, 비과세 혜택은 가입 시점 조건 충족 시 만기까지 유지됩니다.
사망, 해외이주, 퇴직, 사업장 폐업, 3개월 이상 요양, 혼인, 출산, 생애 최초 주택 구입 등이 있습니다. 증빙서류 제출이 필요합니다.
만기 수령금은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일시납입, 창업 지원, 정책자금 연계 등 다양한 청년 맞춤형 정책과 연계해 활용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계산기
청년도약계좌 계산기

Leave a Comment

이 페이지의 내용을 복사할 수 없습니다.